
1. 듣기 전 활동(pre-listening): 지문을 듣기 이전에 교사는 학습자의 배경 지식과 어휘, 문법과 같은 언어적 정보를 미리 학습하여 듣기 활동에 자신감을 갖게 하도록 한다. 배경 지식 활성화 활동 : 듣기 활동에 앞서 교사는 학습할 지문에 대해 질문해 들을 내용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 질문1 : 비용과 장소 상관없이 쉽게 할 수 있는 운동은 무엇이 있을까요? 질문2 : 걷기 운동을 할 때 특별히 주의해야 할 방법이 있을까요? 시각자료와 관련 어휘 예측: 시각자료를 통해 내용을 유추하고 관련 어휘를 예측해본다. 질문: 다음 듣기 활동은 걷기 운동에 관한 내용입니다. 어떤 단어들이 나올까요? 그림을 보면서 걷기 운동에 사용되는 신체 부위 어휘 도 말해보세요. 대답: “팔, 다리, 허리, 공원,..
1. 서론 한국어는 높임법이 발달해 있는 특징을 갖는다. 화자는 언어 내용을 전달할 때 청자와 문장에 등장하는 주체 및 객체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표현할 수 있으며 말할 때 화자와 청자와 말하는 대상의 관계에 따라 높임 관계를 달리 표현하는 것을 높임 표현이라 한다. 한국어의 높임법에는 상대높임법, 주체높임법, 객체 높임법이 있으며, 각 높임법의 체계, 문법 표지에 대해 알아본다. 2. 본론 1) 상대높임법 상대높임법은 말하는 이가 듣는 이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높임법의 종류 중 하나이며 한국어의 높임법 중 가장 잘 발달 되어 있는 높임법이다. 화자가 청자에 대하여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어법이다. 객체 높임법이 문장 내의 목적어나 부사에 관련된 것이라면, 상대높임법은 주어나 목적어, 부사와는 관련이..
외국인을위한 한국어문화교육론 주 제 :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한국어 교재(외국인대상 교육용 교재)중 하나를 선택하여 교재 안의 제시된 문화항목을 정리하고 문화항목이 어떤 방식으로 교재에 제시되어 있는지 조사하여 제출하시오. 서론 90년대 후반부터 한국의 이웃 국가인 중국, 일본을 시작으로 동남아시아 현재는 남아메리카지역까지 ‘한류’의 바람으로 세계 각국에서의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그들의 ‘한류’에 대한 관심은 한국어 교육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그들에게 질 높은 언어교육과 함께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정보를 전달해주고자 한국어 교재의 문화 항목에 대한 논의와 연구도 열렬히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언어와 문화는 뗄 수 없는 관계이기 때문에 언어와 문화학습이 조화롭게 이루어질 때 언어학..
주 제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형태통사·화용·관련어 정보를 가르쳐야 하는지 알아봅시다. 또한 선정한 문법 표현을 활용하여 문장, 대화 또는 담화 단위의 연습이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활동 등의 교수 방법도 포함하십시오. 1. 서론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들이 정확한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구사할 수 있도록 교사는 체계적이며 질 높은 문법 교육을 해야할 의무가 있다. 교사는 한국어 문법을 어떤 순서로, 어떤 방식으로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해야 하며, 단순한 암기식 문법 교육이 아닌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문법 교육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 리포트에서는 한국어 문법에서 ‘-게 하다, -는 바람에’ 이 두 가지..
한국어 교원 2급 : 한국어교육 교재의 현황과 개발 방안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한국어교육 교재의 현황과 개발 방안 1. 서론 교재란 좁은 의미로는 인쇄 매체로 문서화 된 수업자료로서 교육목표에 따른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그 교육과정에 따라 제작된 가시적인 교육 내용이다. 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교육과정에 투입되는 모든 자료, 학습자와 교사를 이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도구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볼 때 외국어 교육에서의 교재는 눈에 보이는 인쇄물뿐만 아니라 교사가 학습자와 상호작용하며 외국어 학습에 이용하는 ‘총체적 도구’라고 정의 할 수 있겠다. 한국어 교육 교재는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학습자를 상대로 편찬되어야 할 도구기 때문에 단순한 모국어 대상의 국어 교재와는 단..
한국어교원2급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특징과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효과적인 지도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의 조음 특징 학습자가 원활한 한국어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화자와 청자 간의 음성언어에 대한 이해와 기본적으로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이 어떤 방식으로 발음되는지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먼저 자음은 조음 기관을 통과할 때, 완전 또는 불완전한 장애를 받는 소리이다. 그러나 모음은 허파에서 올라온 공기가 구강통로 에서 폐쇄나 마찰에 의한 장애를 받지 않고 성대의 진동과 더불어 나는 소리를 말한다. 예로는 자음, ‘ㄱ, ㄴ,ㄷ,ㄹ,……ㅍ,ㅎ,ㄲ, ㄸ,…’, 모음, ‘ㅏ,ㅑ,ㅓ,ㅕ,ㅜ,ㅠ ,ㅡ,ㅣ……’등을 들 수 있다. 2. 한국어의 음성분류 방식 1) 자음의 분류 ..
한국어 교수법의 변천사와 의사소통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말하기 수업의 사례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한국어 교수법의 변천사와 의사소통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말하기 수업의 사례 1. 서론 1990년대 후반부터 서서히 시작된 한류열풍은 2018년 현재까지 그 위상이 대단하다. 한국 대중 문화에 대한 관심은 초기에는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지만, 한국의 경제 성장에 따른 국제적 위상과 함께 중동, 유럽 그리고 남미 지역까지 확대되었다. 그들이 사랑하는 한류의 콘텐츠를 이해하기 위해 한국의 언어, ‘한국어’의 관심도 함께 높아졌으며 그 관심도는 ‘한국어 능력 시험’의 누적 응시자 수치: 1997년 2천명에서 2017년 29만명으로 20년만에 140배가 증가한 것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이렇듯 한국어를 갈..
한국어교원2급, 한국문학개론의 '주몽신화' 분석 및 비평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구비문학, ‘주몽 신화’의 분석 및 비평 1. 서론 구비문학이란 인류가 언어를 사용하면서 사회생활을 할 때부터 형성된 문학으로서, 문자가 창제된 이후 글로 이루어진 기록문학이 나타나기 이전부터 존재해왔다. 구비문학에서 구비(口碑)란 ‘대대로 전해져 내려오는 말’을 뜻하며 이는 현장에서 구연 또는 연행되며 사람의 입을 통해 전해지기 때문에 단순하며 보편적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전달 되는 과정에서 화자의 개성에 따라 의도적인 첨삭이 이뤄질 수 있으므로 한 개인의 작품이라기보다는 공동작으로 볼 수 있는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구비문학은 큰 갈래로 설화, 민요, 무가로 나뉠 수 있다. 구비문학은 한글 창제 이후 문..
- Total
- Today
- Yesterday
- 디자인
- 코펜하겐 관광
- 한국어교원2급
- 아마존셀러
- 한국어교사
- 한국어교육
- 도쿄근교여행
- 아마존
- digital nomad
- 무자본
- 기누가와온천
- 일본
- 패턴디자인
- 일본여행
- 디자인으로 돈벌기
- 카오락여행
- 애플워치5
- 한국어선생님
- 노르웨이여행
- passive income
- 카오락
- 코펜하겐 여행
- 수익창출
- 일본 여행
- 도쿄근교온천
- 기누가와온센
- 태국여행
- 북유럽여행
- 한국어교원
- 덴마크 코펜하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