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외국인을위한 한국어문화교육론
주 제 :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한국어 교재(외국인대상 교육용 교재)중 하나를 선택하여 교재 안의 제시된 문화항목을 정리하고 문화항목이 어떤 방식으로 교재에 제시되어 있는지 조사하여 제출하시오.
서론
90년대 후반부터 한국의 이웃 국가인 중국, 일본을 시작으로 동남아시아 현재는 남아메리카지역까지 ‘한류’의 바람으로 세계 각국에서의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그들의 ‘한류’에 대한 관심은 한국어 교육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그들에게 질 높은 언어교육과 함께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정보를 전달해주고자 한국어 교재의 문화 항목에 대한 논의와 연구도 열렬히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언어와 문화는 뗄 수 없는 관계이기 때문에 언어와 문화학습이 조화롭게 이루어질 때 언어학습 결과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무차별적으로 문화학습을 강요하기보다는 학습자가 소속된 나라의 문화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주변 국가와는 어떠한 공통점 혹은 차이점이 있는지 문화 지식의 영역을 서서히 넓혀가면서 언어 학습과 함께 해나가는 것이 현명한 문화교육이 될 것이며, 현존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재에는 문화 항목이 어떤 방식으로 제시되어 있으며 학습하는지 조사해 보도록 한다.
본론
교재명 : できる韓国語 初級1 (일본인 대상 한국어 교재 초급1)
「できる韓国語 初級1」은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재이며 이 레포트에서 참고할 급수는 초급1이다. 책의 큰 구성은 큰 3가지 구성으로 나누어져 있다.
Part 1. (입문) 기본 자음, 모음, 받침 등 기본적인 한글의 읽기를 익힌다.
Part 2. (초급1) 본격적인 지문과 단어 공부를 통한 실력 쌓기
Part 3. (정리해봅시다) 주의해야 할 발음 변화, 틀리기 쉬운 발음 정리
1) 한국의 지도 첨부
「できる韓国語 初級1」에서는 Part 1에서 한글의 자음, 모음, 그리고 받침에 대한 공부가 끝난 후 본격적인 어휘를 공부하는 Part 2가 시작하기 전에 한국의 지도(남·북)를 첨가하였다. 어떠한 목적에서이건 한국에 관심을 갖고 한국어를 공부하고자 하는 학습자들에게 한국의 지형과 위치 역사적인 이야기를 간단히 하며 학습에 고취할 수 있는 요소가 된다.
3) 인사
「できる韓国語 初級1」에서는 자음·모음·받침의 학습이 끝난 후 ‘인사’의 부분을 3페이지에 걸쳐 제시하고 있다.
· 안녕하세요? / 네, 안녕하세요?
· 오래간만입니다 / 오랜만입니다 / 오랜만이에요
· 잘 지내셨어요? / 네, 잘지냈어요.
· 죄송합니다 / 괜찮아요
· 감사합니다 / 천만에요
· 수고하셨습니다.
· 잘 먹겠습니다 / 잘 먹었습니다.
· 안녕히 계세요 / 안녕히 가세요
위와 같은 가장 기본적이면서 일상적인 인사의 표현을 그림과 일본어 설명과 함께 넣어주고 있다. 한국어 학습 전, 한국 문화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던 학습자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인사표현을 본격적인 학습에 앞서 넣어줌으로써 ‘인사’라는 문화적인 부분을 연습해볼 수 있게 한다.
3) 지문
「できる韓国語 初級1」의 Part 2는 총 20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과에서는 대표 지문, 단어, 문법, 연습의 단계로 진행된다. 대표 지문에는 한 과에서 배울 총체적인 내용과 어휘를 담고 있으며, 이 지문에는 한국 문화적인 요소를 자연스럽게 담아 언어학습과 문화학습을 자연스럽게 통합하여 학습하게 하고 있다.
단원 |
제시방법 |
단원주제 |
문화 항목 |
제시내용 |
1 |
설명·그림 |
자기소개 |
한국인의 자기소개 형식 |
한국인과 일본인의 첫 만남에서의 자기소개 지문(이름과 직업) |
3 |
설명·그림 |
‘그건 뭐예요?’ |
한국의 음식 |
한국의 음식, 김치와 나물을 지문에 첨가(그건 뭐예요? /이건 오이 김치예요. / 그건 나물이에요) |
4 |
설명 |
약속 |
1) 한국의 지역명 2) 가족의 지칭 |
1) 종로에서 친구하고 약속이 있습니다. 2) 할아버지, 할머니, 형/오빠, 누나/언니 등 한국어에서의 가족 지칭 |
5, 7 |
설명 |
위치, 하루일과 |
한국의 지역명 |
회사는 강남역에 있습니다 / 친구와 명동에서 쇼핑을 합니다. |
9 |
설명·그림 |
고향소개 |
부산의 특징 |
‘부산은 회가 유명해요’, ‘부산은 서울보다 따뜻해요’ |
11 |
설명 |
학습 기간 설명 |
‘아직 멀었어요’ |
‘한국어 정말 잘하시네요.’ ‘아직 멀었어요.’ → 한국어 특유의 표현 |
14 |
설명·그림 |
한국과 일본의 문화 비교 |
한국의 식사 습관, 자동차 운전석 위치 |
‘일본 사람은 밥그릇을 들고 먹지만 한국 사람은 안 그래요.’, ‘일본 차 운전석은 오른쪽이지만 한국 차는 왼쪽이에요.’ |
16 |
설명·그림 |
한국의 공휴일 |
한국의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승의날 |
‘5월에는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스승의날이 있어요.’ |
17 |
설명·그림 |
한국의 결혼식 |
한국의 결혼식 하객 옷차림 |
‘한국의 결혼식에 한복을 입고 가도 돼요?’ |
20 |
설명·그림 |
한국과 일본의 교통수단 비교 |
교통수단 / 자전거의 사용 |
‘서울에서는 자전거를 안 타요?’ ‘물론 타지만 자전거로 출퇴근은 거의 안 해요. |
「できる韓国語 初級1」에서는 1과~20과에 걸쳐 한국어 어휘 학습, 문법 그리고 응용까지 단계별로 언어학습의 틀을 제공해주고 있으며, 그에 맞춰 문화 항목 요소도 적절히 포함하고 있다. 총 20과 중 11개의 과에서 직접적, 간접적으로 한국의 문화의 특징점을 소개하며 일본의 문화와도 비교하여 제시하고 있었다. 또한, 흥미도를 높일 수 있도록 적절한 그림 삽입도 볼 수 있었다. 「できる韓国語 初級1」은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재이므로 일본 문화와 한국 문화를 비교한 지문들을 볼 수 있었는데, 14과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식사 습관, 20과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교통수단 등을 예시로 제시하며 자국 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더욱 심도 있게 문화 항목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 점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결론
현존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재의 문화 항목의 구성과 제시방법에 대하여 조사 해 보았다. 「できる韓国語 初級1」교재는 예상보다 풍부한 문화 항목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언어학습과 문화요소의 자연스러운 구성도 눈에 띄었다. 개인적으로는 언어교육 측면에서만 집중하여 한국어 교재를 분석할 때 인식하지 못했던 교재의 문화적인 측면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달았으며 한국어 교사는 이러한 문화적인 측면도 충분히 인식하여 학습자들에게 충분히 교수하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작성한 레포트를 무료로 공개해보았습니다. 혹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포스팅 안에 광고들 살짝 눌러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한국어 교원 레포트 자료의 업데이트를 이어나가는데 큰 격려가 됩니다!! :-)
'한국어교원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교원2급] 중급 학습자를 위한 듣기수업 구성 (0) | 2019.05.15 |
---|---|
[한국어교원2급] 한국어의 높임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종류와 체계, 문법 표지 등) (0) | 2019.05.15 |
[한국어교원2급] 문법 표현의 예 에 대해 어떤 의미, 형태통사, 화용, 관련어를 가르쳐야 할까? (2) | 2019.05.15 |
[한국어교원2급] 한국어교육 교재의 현황과 개발 방안 (0) | 2019.03.24 |
[한국어교원2급]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특징,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효과적인 지도방법 (0) | 2019.03.24 |
- Total
- Today
- Yesterday
- 일본
- 디자인으로 돈벌기
- 일본여행
- 디자인
- 수익창출
- 한국어교사
- 노르웨이여행
- 도쿄근교여행
- 아마존셀러
- 아마존
- 도쿄근교온천
- passive income
- 한국어선생님
- 한국어교원2급
- 일본 여행
- 애플워치5
- 태국여행
- 덴마크 코펜하겐
- 코펜하겐 관광
- 카오락여행
- 코펜하겐 여행
- 카오락
- 기누가와온천
- 무자본
- 한국어교원
- 북유럽여행
- digital nomad
- 패턴디자인
- 기누가와온센
- 한국어교육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