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어 교수법의 변천사와 의사소통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말하기 수업의 사례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한국어 교수법의 변천사와 의사소통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말하기 수업의 사례
1. 서론
1990년대 후반부터 서서히 시작된 한류열풍은 2018년 현재까지 그 위상이 대단하다. 한국 대중 문화에 대한 관심은 초기에는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지만, 한국의 경제 성장에 따른 국제적 위상과 함께 중동, 유럽 그리고 남미 지역까지 확대되었다. 그들이 사랑하는 한류의 콘텐츠를 이해하기 위해 한국의 언어, ‘한국어’의 관심도 함께 높아졌으며 그 관심도는 ‘한국어 능력 시험’의 누적 응시자 수치: 1997년 2천명에서 2017년 29만명으로 20년만에 140배가 증가한 것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이렇듯 한국어를 갈구하는 수요자들에게 질 높고 유용한 한국어 학습의 제공을 위하여 검증된 한국어 교원 인재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더불어 한국어 교수법에 대한 연구도 중요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널리 알려진 한국어 교수법의 분류와 변천사에 대해 알아보고 각 교수법을 적절히 이용하여 말하기 수업의 사례를 구성해보도록 한다.
2. 본론
1) 한국어 교수법의 변천사
한국어 교육은 짧은 역사와 열악한 교육 환경 속에서도 한국어 교육 기관 나름대로 교육 과정과 교재를 마련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발전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한국어 교육의 궁극적 지향점은 한국어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생활을 구현하기 위함과 개인의 목적 달성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또한, 단순한 한국어 교육뿐만 아니라 한국의 문화, 사회, 사고방식을 이해하고, 유창하게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질 높은 학습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발전된 한국어 교수법이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어떤 단계를 거쳤는지 알아보도록 한다.
1950년부터 1990년 전반부까지는 청각-구두식 교수법이 주류를 이루었고 문법-번역식 교수법도 부분적으로 활용되었다. 청각-구두식 교수법은 언어의 문법적인 설명은 최소한으로 하고 일종의 문형 형식을 반복 연습으로 하는 암기 위주의 교수법이며, 단시간에 학습자들이 완성된 발음을 구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한편, 자유로운 형태의 의사소통은 불가능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 시기의 주된 한국어 학습자는 선교자, 무역인, 통역가 등이 있었다. 대학기관으로는 1959년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이 최초로 설립되었다.
1990년대 중반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는 의사소통중심 교수법의 시기라 할 수 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목표를 단순한 문헌 해석과 같은 기능적인 활동이 아닌 의사소통능력응용에 두고 특정한 상황 속에서도 유창하게 상대방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의사소통중심 교수법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하나의 교수법에 치우치지 않고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목적과 레벨, 과목의 특징을 잘 파악하여 여러 교수법을 적절히 이용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판단되는 현실이다.
2) 의사소통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말하기 수업 사례
의사소통중심 교수법은 언어를 ‘기능’으로 보는 문법적인 생각에서 파생된 언어 교수 이론이기 때문에 문법체계의 정확성보다는 유창성을 중시한다. 이러한 의사소통중심 교수법의 학습 목표에 알맞은 말하기 수업의 사례를 구성해본다.
※ 사회적 기능을 키우기 위한 말하기 학습
학습 대상: 중급
학습 목표: 대화 상대에 따라 존경어, 겸양어 또는 반말로 구사 가능
학습자가 교육현장 밖에서 만날 상대에 따른 언어 구사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학습한다. 롤 플레이 형식으로 짝을 지어 상황극을 하도록 지시한다. 학습자는 한국어의 특징인 존댓말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고 연습하며 언어의 사회적 기능도 인식하게 된다.
※ ‘실제 자료’를 이용한 말하기 활동
학습 대상: 초급
학습 목표: 학습자가 실생활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실제 자료’를 사용하여 자신의 욕구를 이입한 말하기 활동을 지시한다. 짝을 이루어 제시된 본문을 읽고 연습한 후, 실제 자료를 보면서 자신의 상황을 대입하여 자유롭게 말하기 활동을 진행하며 오류 지적은 최소한으로 한다.
벤: 여기 백화점 정보가 있어요. 마코씨는 오늘 무엇을 사러 왔나요?
마코: 수영복을 사러 왔어요.
벤: 수영복이라면 5층 스포츠용품코너로 가볼까요?
마코: 네. 수영복을 사고 나서 8층 식당에서 점심을 먹을까요?
벤: 네. 좋아요.
※ 정보 교환 활동
학습 대상: 중급이상
학습 목표: 어휘 ‘~만큼 ~하다’를 이용하여 각 나라의 어휘에 대해 서로 말해보고 문화적 정보도 교환하도록 한다.
예) 한국에서는 ‘두 발 뻗고 잘 수 있을 만큼 후련하다.’라는 어휘 표현이 있습니다. 무언가 곤란한 사건이 해결되었을 때 기분의 후련함을 표현하는 어휘입니다. 학습자들의 나라에는 이렇게 비슷한 표현이 있는지 이야기해 봅시다. 일본 학습자 : “눈물이 나올 만큼 아프다.”, 중국인 학습자: “죽을 만큼 배고프다.” …
이러한 말하기 활동을 진행하며 한국의 특별한 어휘를 배우면서 각 나라의 언어 표현의 정보도 교환하는 활동을 진행한다.
※ 말하기를 이용한 문법 표현 강화 활동
의사소통중심 교수법은 실용적인 의사소통 기능 학습에 집중한 교수법이기 때문에 문법체계에 따른 언어 구사는 어려움이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하지만 의사소통에 중점을 둔 어휘 학습을 진행하고 학습자가 자연히 구사한 어휘 안에 사용된 문법체계와 규칙을 스스로 찾아내게 하거나 간단히 설명해 주도록 한다면 유창성과 정확성이 모두 균형 잡힌 유용한 학습이 될 것이다.
3. 결론
한국어 교수법의 변천사와 교수법을 사용한 사례에 대해 알아보면서 학습자들이 질 높은 교육을 받기 위하여 교원들의 적절한 교수법 사용의 중요성을 더욱 깊이 인식하였다.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목적과 이유 등을 잘 고려하고 판단하여 유의미한 시간을 갖도록 힘쓰는 현명한 교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교육 현실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과 교수법의 연구와 개발도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 작성한 레포트를 무료로 공개해보았습니다. 혹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포스팅 안에 광고들 살짝 눌러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한국어 교원 레포트 자료의 업데이트를 이어나가는데 큰 격려가 됩니다!! :-)
참고문헌
국어문화운동본부의 기사, ‘한류의 힘’
'한국어교원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교원2급] 한국어교육 교재의 현황과 개발 방안 (0) | 2019.03.24 |
---|---|
[한국어교원2급]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특징,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효과적인 지도방법 (0) | 2019.03.24 |
[한국어교원2급]주몽신화의 분석 및 비평 (0) | 2019.03.24 |
[한국어교원2급] 청소년언어와 성인언어의 비교 (0) | 2019.03.24 |
[한국어교원2급] 침묵식 교수법으로 한국어교육을 가르칠 때, 예상되는 효과와 어려움, 개선방향 (4) | 2019.03.24 |
- Total
- Today
- Yesterday
- 일본 여행
- 한국어교사
- 한국어교육
- 아마존셀러
- 한국어교원2급
- 기누가와온천
- 덴마크 코펜하겐
- 코펜하겐 관광
- 도쿄근교여행
- 아마존
- 디자인으로 돈벌기
- 노르웨이여행
- digital nomad
- 기누가와온센
- 도쿄근교온천
- 패턴디자인
- 코펜하겐 여행
- 카오락여행
- 디자인
- passive income
- 한국어선생님
- 일본여행
- 북유럽여행
- 수익창출
- 무자본
- 태국여행
- 카오락
- 애플워치5
- 일본
- 한국어교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