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듣기 전 활동(pre-listening): 지문을 듣기 이전에 교사는 학습자의 배경 지식과 어휘, 문법과 같은 언어적 정보를 미리 학습하여 듣기 활동에 자신감을 갖게 하도록 한다.

 

배경 지식 활성화 활동 : 듣기 활동에 앞서 교사는 학습할 지문에 대해 질문해 들을 내용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

질문1 : 비용과 장소 상관없이 쉽게 할 수 있는 운동은 무엇이 있을까요?

질문2 : 걷기 운동을 할 때 특별히 주의해야 할 방법이 있을까요?

 

 

 

 

 

 

시각자료와 관련 어휘 예측: 시각자료를 통해 내용을 유추하고 관련 어휘를 예측해본다.

 

질문: 다음 듣기 활동은 걷기 운동에 관한 내용입니다. 어떤 단어들이 나올까요? 그림을 보면서 걷기 운동에 사용되는 신체 부위 어휘 도 말해보세요.

 

대답: “, 다리, 허리, 공원, 걷다, 자세, 속도, 시선

 

 

 

 

 

 

2. 듣기 활동(while-listening): 듣기 전 활동이 끝나면 듣기 활동을 시작한다. 교사는 학습자에게 간단한 메모나 O, X 표시를 이용하기를 권장하도록 한다.

 

 

[듣기 지문] : 지문을 듣고 맞는 답을 고르시오.

걷기 운동하면 특별한 방법 없이 걷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분이 많은데요. 제대로 된 방법과 자세로 걷지 않으면 운동 효과를 보기 어렵다고 합니다. 걸을 때는 평소보다 약간 빠른 속도로 걸어야 합니다. 그리고 발뒤꿈치, 발바닥, 발가락의 순으로 땅에 닿아야 합니다. 고개는 약간 들고 눈은 15미터 앞을 봅니다. 허리는 똑바로 펴고 양팔을 자연스럽게 흔드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와 같은 속도로 걸어야 한다

걸을 때는 발뒤꿈치부터 땅에 닿아야 한다

고개를 똑바로 하고 앞을 보고 걸어야 한다

걸을 때는 양팔을 곧게 펴고 앞뒤로 크게 흔들어야 한다.

 

 

2. 빈칸에 쓰세요.

 

올바른 걷기방법

속도는 평소보다 ( ) 빠르게

( ), ( ), 발가락의 순으로 땅에 닿기

고개는 ( ) 들기

( )/은 똑바로 펴기

( )/은 곱게 펴고 자연스럽게 흔들기

 

 

3. 듣기 후 활동(post-listening)

· 문법, 어휘 점검 : 듣기 후 빈칸 채우기의 어휘를 점검한다. “평소, 발뒤꿈치, 발바닥, 발가락, 고개, 허리, 양팔 등과 같은 어휘의 의미 설명 시간을 갖는다.

 

· 정답 확인하기 : 보기의 문항을 지문의 내용과 비교하여 함께 O, X 표시를 하며 정답 걸을 때는 발뒤꿈치부터 땅에 닿아야 한다 까지 함께 유추해낸다.

 

· [듣기+어휘] 통합 : 지문에 나온 신체 부위 의외의 다른 어휘도 함께 학습한다.

 

해설: 그림을 보면서 이미 알던 부분은 복습 개념으로 빠르게 신체 부위 어휘를 연습해보도록 한다.

 

 

· [듣기+말하기] 통합 : 학습이 끝난 후 학습자 개인의 운동습관과 방법을 발표하고 공유하고 학습을 마무리 하도록 한다.

 

 

질문 : 걷기 운동의 올바른 방법에 대해 듣기 활동을 했습니다. 여러분들은 운동을 하고 있습니까? 자신이 아는 운동종류와 방법에 대해 말해 봅시다.

 

*  작성한 레포트를 무료로 공개해보았습니다. 혹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포스팅 안에 광고들 살짝 눌러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한국어 교원 레포트 자료의 업데이트를 이어나가는데 큰 격려가 됩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