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주 제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형태통사·화용·관련어 정보를 가르쳐야 하는지 알아봅시다. 또한 선정한 문법 표현을 활용하여 문장, 대화 또는 담화 단위의 연습이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활동 등의 교수 방법도 포함하십시오.

 

 

 

 

 

 

 

1. 서론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들이 정확한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구사할 수 있도록 교사는 체계적이며 질 높은 문법 교육을 해야할 의무가 있다. 교사는 한국어 문법을 어떤 순서로, 어떤 방식으로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해야 하며, 단순한 암기식 문법 교육이 아닌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문법 교육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 리포트에서는 한국어 문법에서 -게 하다, -는 바람에이 두 가지의 문법 표현을 학습자에게 가르칠 때 필요한 각 문법의 의미, 형태 통사, 화용, 관련어 정보에 대해 알아보고, 더 나아가 활용할 수 있는 교수 방법을 제시해본다.

 

2. 본론

 

1) -게 하다

 

 

[ 기본예문 ]

: 당신을 위해서 이 꽃을 샀어요

: 정말요? 당신은 항상 나를 행복하게 해요.

 

: 딸의 건강을 위해서 매일 아침 운동하게 해요.

: 저도 아들의 건강을 위해서 매일 아침 건강 주스를 마시게 해요.

 

 

[ 의미]

-게 하다는 어떤 사람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시킨다는 의미이다.

 

용법:

동사 다음에 ‘-게하다를 붙여 사용한다. 자동사일 때는 ‘N1/N2/V-게 하다로 사용하고, 타동사일 때는 ‘N1/N2에게 V-게하다로 사용한다.

 

-게 하다

A/V

-게 하다

치다

쉬다

게 하다

게 하다

· 선생님은 저를 학생들 앞에서 피아노를 치게 하셨어요. (피아노를 치게 시키다)

· 교수님은 학생들을 10분간 쉬게 하셨어요. (쉬도록 시키다)

 

 

[ 의미]

이 표현은 형용사 다음에 ‘-게 하다가 오면 그 사람을 어떤 상태가 되게 한다는 의미가 된다. ‘N1/N2/A-게 하다로 사용한다.

 

· 못된 주위 사람들이 나를 힘들게 해요.

· 전쟁에 관한 뉴스는 나를 슬프게 해요.

 

 

[ 의미]

이 표현은 어떤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을 허락하거나 허락하지 않는다는 의미도 있다. 이때 ‘-게 하다하다허락하다의 의미가 된다.

 

· 부모님은 저를 콜라를 마시지 못하게 하셨어요.

· 어머니는 아이가 하루에 한 시간 동안은 컴퓨터 게임을 하게 해요.

 

 

[ ‘-게 하다의 활용 ]

어떤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지 않게 한다는 의미로 사용할 때는 게 하다로 사용한다.

 

· 지수 씨는 아이들이 햄버거를 안 먹게 합니다. (X)

지수 씨는 아이들이 햄버거를 못 먹게 합니다. (O)

 

2. ‘-도록 하다‘-게 만들다‘-게 하다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다.

 

· 교수님은 학생들에게 책을 읽어 오게 하셨어요.

= 교수님은 학생들에게 책을 읽어 오도록 하셨어요.

 

· 유미 씨는 저를 웃게 하는 사람이에요.

= 유미 씨는 저를 웃게 만드는 사람이에요.

 

· 그 직원은 저를 보험에 들게 했어요.

= 그 직원은 저를 보험에 들도록 만들었어요.

[ ‘-게 하다의 제약 ]

동사나 형용사에 ‘-/////-’를 붙이거나 ‘-게 하다를 붙여 사동을 만드는 것은 같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

-게 하다

(1) ‘-/////-’는 일부 단어에서만 사용한다.

운전하다 운전하이다 (X)

운전하게 하다(O)

(1) ‘-게 하다는 모든 단어에 사용될 수 있다.

운전하다 운전하게 하다 (O)

입다 입게 하다(O), 입히다(O)

(2) 문장의 주어가 손을 움직이거나 해서 직접적인 동작을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 엄마는 아이를 씻겼어요.

엄마가 손을 움직여서 아이를 씻기는 직접적인 동작을 한다.

 

(2) 문장의 주어가 말을 해서 그 사람이 행동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주어가 직접 관계하는 것은 아니다.

 

· 엄마는 아이를 씻게 했어요.

엄마는 움직이지 않고 아이에게 말을 하여 아이가 씻는 행동을 하게 된다. 엄마는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다.

 

 

 

[ ‘-게 하다의 문법을 이용한 대화 만들기 말하기 교수법 ]

 

거짓말을 많이 해서 나는 짜증이 난다.

약속을 지키지 않아서 나는 화가 난다.

집착을 많이 해서 당황스럽다.

 

학습자가 위와 같은 대화카드를 보고 숙지한 후 다른 학습자와 함께 대화를 만들게 한다.

 

대화의 예:

: 남자친구랑은 왜 헤어졌어요?

: 거짓말을 많이 해서 저를 짜증나게 하거든요.

 

 

 

2) -는 바람에

 

[ 기본예문 ]

: 교통사고요? 어쩌다가 사고가 났어요?

: 사거리에서 택시 한 대가 갑자기 끼어드는 바람에 사고가 났어요.

 

[ 의미 ]

‘-는 바람에는 동사 뒤에 붙어서 예상하지 못했던 앞의 행동 때문에 뒤의 결과가 나옴을 나타낸다.

 

· 비가 와서 미끄러지는 바람에 사고가 났어요.

· 어제 전화기를 집에 놓고오는 바람에 전화를 못 받았어요.

· 약속시간에 늦을까봐 서두르는 바람에 서류를 잘못 가져왔다.

 

 

[ 화용정보 ]

‘-는 바람에는 일반적으로 앞의 상황이 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올 때 사용한다.

 

친구가 선물을 주는 바람에 기분이 아주 좋았어요. (X)

이 문장이 어색한 이유는 친구가 선물이 준 것이 기분이 아주 좋았다는 긍정적인 이유를 미치기 때문이다.

 

아이가 우는 바람에 해야 할 일을 하나도 못했어요. (O)

이 문장은 아이가 우는 것이 해야 할 일을 하나도 못했다는 부정적인 결과, 예상하지 못한 결과로 이어지기 때문에 자연스럽다.

 

 

[ 주의점 ]

‘-는 바람에는 과거의 의미로 사용할 때도 는 바람에로 쓴다.

버스를 잘못탄 바람에 약속 시간에 늦었어요. (X)

ㄴ 바람에로 사용하지 않는다.

버스를 잘못 타는 바람에 약속 시간에 늦었어요. (O)

과거의 형태로 사용할때도 ‘-는 바람에의 형태로 사용된다.

 

[ -느라고 vs 는 바람에 ]

‘-느라고‘-는 바람에는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온것에 대한 이유를 설명할 때 쓰는 문법 표현이지만 차이점이 존재한다.

 

‘-느라고는 앞의 일을 하는데에 시간이 걸려서 뒤의 일이 생긴다.

) 전화를 하느라고 소리를 못들었어요.

책을 읽느라고 늦게 잤어요.

 

‘-는 바람에는 예상하지 못하게 발생한 사건과 그로 인해 일어난 결과를 말한다.

) 갑자기 바람이 부는 바람에 우산이 뒤집혔다.

갑자기 배가 아픈 바람에 수업에 늦었다.

 

[ 제약 ]

‘-느라고’, ‘-는 바람에는 대부분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때 사용하는 문법 표현이지만 꼭 부정적인 결과만을 표현하지는 않는다.

) 학비를 버느라고 열심히 일했다. 부정적이지 않은 어떤 행동의 이유

그 비행기를 놓치는 바람에 사고를 면했다. 긍정적 결과

 

 

[ ‘-는 바람에의 문법을 이용한 쓰기 교수법 ]

 

문제: ‘-는 바람에를 이용하여 문장을 완성하시오.

 

1) 감기에 걸리다 + 약속을 취소하다.

정답: 감기에 걸리는 바람에 약속을 취소했다.

 

2) 발이 걸리다 + 넘어질 뻔 하다.

정답: 발이 걸리는 바람에 넘어질 뻔 했다.

 

3) 비가 오다 + 빨래가 젖다.

정답: 비가 오는 바람에 빨래가 젖었다.

 

 

 

3. 결론

한국어의 문법 표현 중 ‘-게 하다‘-는 바람에에 대한 의미, 형태동사, 화용, 관련어 등 문법 교육에 관한 정보를 조사해보았다. 한가지 문법 표현을 교육하는데에도 순서와 절차 주의점을 잘 인식하여 교육해야 한다는 것을 느꼈다. 외국인 학습자의 위치에서 한국어 문법과 표현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지 연구하여 기존의 딱딱한 문법 교수법이 아닌 의사소통에 쉽게 접목할 수 있는 문법 교수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작성한 레포트를 무료로 공개해보았습니다. 혹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포스팅 안에 광고들 살짝 눌러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한국어 교원 레포트 자료의 업데이트를 이어나가는데 큰 격려가 됩니다!! :-) 

 

 

 

참고 : 세종한국어 711과 사고 경험

 

 

 

댓글